본문 바로가기
728x90
반응형

ZZZEN의 코멘터리룸3

“몇 채 가졌냐로 사람을 나누는 나라”, 다주택자=악당?? 이 정부, 주택 소유를 계급처럼 나누고 있다🔧 또 다주택자 규제... 그게 서민에게 안 돌아온다고요?이 정부도 결국 다주택자 핍박 정책으로 회귀했습니다.“불로소득 억제”라는 이름 아래‘몇 채 갖고 있냐’로 국민을 구분하고 차별하고 있습니다.다주택자는 과도한 세금에, 대출조차 불가.전세든 매매든 집을 사거나 빌려줄 자유 자체가 사라졌습니다.하지만 진짜 문제는 이 모든 불이익이고스란히 서민한테 전가된다는 사실이죠. 🧱 보유 주택 수 = 나쁜 사람?정부는 주택이 두 채 이상이면 투기꾼으로 봅니다.“살 집 말고 왜 또 집을 갖느냐”는 시선이 박혀 있죠. 그런데 누군가는 은퇴 대비 수익형 자산으로,누군가는 부모님 집 + 내 집으로 갖고 있을 수도 있는 것 아닐까요? 지금은 그런 맥락은 전혀 보지 않고,무.. 2025. 6. 27.
추경 뿌리고, 긴축 때리고… 정권 바뀌어도 예산 놀이는 그대로 정치는 바뀌지만,국민은 늘 뒷수습 담당입니다.🏛️ 정권은 바뀌었지만, 방식은 익숙하다이재명 대통령이 취임한 지 아직 한 달도 안 된 시점.벌써 30조 5000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(추경)이 나왔습니다.타이밍은 “지금이 골든타임”이라며 속도를 강조하죠.내용도 나쁘지 않습니다.내수 진작, 취약계층 지원, 경기부양 등지금 필요한 지원책이긴 하니까요.하지만 이 흐름, 우리에게 너무 익숙하지 않나요? 🔄 퍼주고 조이고 반복하는 정치정권 초반엔 항상 돈을 풉니다.“정의로운 복지”, “약자를 위한 재정”이라는 이름으로요.그러다 시간이 지나고, 빚이 불어나면다음 정권은 또 말합니다.“우리는 재정건전성부터 챙겨야 합니다.”국민 입장에서 보면 이렇습니다:정권 초반: 지원 늘리며 기대감 부풀림중후반: 세금 인상.. 2025. 6. 26.
'장마가 물가를 삼킨다' 비가 오면 가게도, 사람도, 지갑도 움츠러든다.2025년 6월 19일, 장마가 공식 시작된 오늘내 방 창문을 두드리는 빗소리를 들으며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.“비 오는 날, 물가는 더 빠르게 오른다.”🌧 장마철에 유독 민감한 소비장마철은 단순히 날씨가 흐린 걸 넘어서소비 심리와 생필품 가격 전반에 영향을 주는 시기다. ✔ 우선, 외출 자체가 줄어든다.→ 외식·쇼핑 줄고, 소비도 ‘줄이는 게 낫겠다’ 모드 진입→ 그 대신 배달 수요는 폭발 ✔ 그런데 문제는, 배달료→ 폭우·강풍 등으로 배달 인력 부족→ 최소 주문금액 상승 + 거리할증 + 우천할증까지→ “햄버거 하나에 5천 원 더 내는 기분” ✔ 마트는?→ 장마로 농산물 공급 불안정→ 채소·과일값 상승, 장마 인플레이션 본격화 💸 물가를 밀어 올리는 .. 2025. 6. 20.
728x90
반응형